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Windows에서 Ubuntu 듀얼 부팅하기 (dual/multi booting)

카테고리 없음

by Riella 2022. 1. 6. 06:02

본문

728x90

참고한 블로그 1, 블로그 2 (멀티부팅은 아님)

Windows만 깔린 상태에서 ubuntu 20.04 버전을 설치하는 방법을 적어보려고 한다.

[파티션 분할]

1. 왼쪽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에서 우클릭 -> 실행 클릭

실행 창 열기

2. 열기 란에 diskmgmt.msc입력

diskmgmt.msc

분할 창 켜기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3. C 드라이브쪽에 커서를 두고 우클릭 -> 볼륨 축소 클릭

c 드라이브 우클릭
파티션 크기 결정

4. 축소하려는 양만큼 숫자를 설정해준다

(위 이미지는 파티션 후에 옵션을 다시 킨 거고 저 같은 경우는 축소 전 전체 공간의 반을 적었어요)

 

[우분투 디스크 이미지 받기]

https://releases.ubuntu.com/20.04/

ubuntu-20.04.3-desktop-amd64.iso를 설치한다

 

[rufus 설치]

https://rufus.ie/ko/

업데이트 정책은 아니요 선택하면 됨!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rufus 옵션 선택

부트선택에 아까 설치한 디스크 이미지를 선택해주고

GPT / UEFI

FAT32 (디스크 파티션 방식인데 ntfs로 설정되어있으면 그거 클릭)

그리고 시작을 누르면 된다 (끝나고 닫기).

 

[Linux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할 시: LTS18.04 이하]

본인은 swap partition을 따로 만들어 줬는데 LTS18.04부터는 루트 파일 아래에 

컴퓨터를 끄고 설치하기 전에 RAM(memory)가 얼마인지 알고 끄자

파티션 분할: 1번에서처럼 실행을 열고 실행 창에 msinfo32를 치고 엔터를 누른다.

그러면 설치된 실제 메모리(RAM) 란에서 메모리가 얼마인지 볼 수 있다.

최대 절전모드 사용시 ram크기나 조금 더 넉넉하게 swap partition을 꼭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메모해두자.

 

[BIOS에서 부팅순서 바꾸기]

RAM size

1. 전원을 끄고 다시 켤 때 F2를 누른다.

모든 제조사가 BIOS진입 키가 같은 건 아니기에 제조사 키 링크를 첨부해뒀다.

2. Boot Priority에 USB를 우선으로 한다 (컴퓨터마다 모양은 달라도 Windows Boot Manager 제외 하나가 더 뜸)

Booting Manager (ASRock Z590M)

저장하고 나간다.

 

[Linux 설치]

이제 리눅스가 실행이 될 거다.

1. 사진은 없지만 검은 창이 뜨면 Install Ubuntu를 클릭한다.

2. Install Ubuntu -> Korean -> Normal installation (CUDA사용 시 Install third-party 뭐시기도 체크) -> Something else순으로 클릭

(여기에 의하면 Nvidia 독점 드라이버도 같이 설치된다고 한다 - 이게 성능이 더 좋다고...)

3. 여기에서 아까 비워둔 Free Space를 찾는다.

[Swap partition 만들 시]

최신 버전은 루트에 swapfile이 따로 있다고 한다 (그래서 만들 필요가 없었다)

저처럼 만든 경우는 나중에 쉘에 가서 swapfile disable 해줘야 함.

그리고 RAM이 작은 경우는 외려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다 (한글 출처, 영문 출처)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만들도록 하자.

size: 아까 RAM 용량 정도에다 여유분 10% 정도를 적어준다 (참고 32GB = 32000MB)

type: logical (Primary 남을 시 가능)

여기에서 주(Primary) 파티션이 보통 OS를 설치할 때 쓰이지만 최대 4개만 설정 가능하다.

보통 sda1~4에 할당이 되는데 이름이 아래처럼 (nvme0n1p1~4) 다르게 보여도 같은 거라 생각하면 된다 (링크).

우선 이 경우에는 logical을 써야 한다.

Location for the new partition: Beginning of this space

Use as: swap area

[root partition 만들기]

size: 남은 free space 다

type: 주 파티션이 다 쓰이고 있는 거 같아서 logical을 골랐지만 남은 경우에는 주 파티션을 쓴다.

location: beginning of this space

use as: ext4 journaling file system

mount point: \

정말 파티션은 사람마다 다르게 해 놓았는데 도움이 된 관련 링크들을 좀 모아놓았다 (링크1, ).

4. 나머지는 시간 설정/계정 만드는 건데 계정 이름을 짧은 닉네임으로 해야 터미널에서 보기가 편하다.

5. 시스템을 재부팅 시 'Please remove the installation medium then press enter'라고 뜨면 usb 뽑는 걸 잊지 말자.

처음 설치했을 때 까먹고 안 뽑았었는데 만일 안 뽑았다 하더라도 컴퓨터를 강제로 끄고 usb를 뽑으면 되었었던 걸로 기억난다

(링크 <- 여기서는 usb 뽑고 강제 종료 후 다시 시작하란다).

 

이렇게 하면 듀얼부팅은 끝! 수고하셨습니다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