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분투/리눅스(Ubuntu/Linux)에서 깃(git) 프로젝트 만들기 및 깃헙(github) 연결

git

by Riella 2025. 4. 6. 16:36

본문

728x90

git은 버전 컨트롤(verson control)을 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파일이 수정되고 하면 어느 시점을 커밋(git commit)하고  snapshot을 만듦) 나중에 이 시점으로 돌아와서(git checkout) 다르게 수정한다든지, 혹은 특정 시점에서 브랜치(git branch, git switch로 브랜치 바꿈)를 생성하여 작업하거나 병합(git merge)할 수 있다.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 (위키에서) 소개하는데 링크의 다이어그램을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git 다운로드: https://git-scm.com/downloads/linux

apt-get install git

 

git 최초 설정: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B5%9C%EC%B4%88-%EC%84%A4%EC%A0%95

 

[로컬 파일을 git 저장소로 만들기]

git init

 

이제 github에 연결할건데 그전에 커밋 안할 파일들부터 분리

[git ignore 파일 만들기]

vi .gitignore

 

i (insert mode)로 바꾸고 예시 파일처럼 만들면 됨

data/

*.mp3
 
cookies.txt
downloaded.txt

 

data/ 대신 커밋하고 싶지 않은 디렉토리 이름 넣어도 됨

*.mp3 대신 다른 확장자 넣어도 됨

아니면 파일의 전체 이름을 적어도 됨

 

[첫 커밋]

git status

 

빨갛게 뜨는 파일들이 아직 커밋 되지 않은 파일들이다

하나씩 더해줄 수 있지만 한번에 다 더해보자

git add -A

 

git commit -m "적고 싶은 노트(e.g. added code for downloading datset)"

 

[github에 연결]

1. New 버튼 눌러서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든다.

 

2. 새로 만들면 ..or push an existing repository from the command line이 보인다 (혹은 uploading an existing file도 있긴함)

거기의 command를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이 부분은 만든 깃 리포에 따라 다름].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종종 commit을 아예 안해서 오류가 뜨기도 하는데

git branch

 

했을때 아무것도 안뜨면 [첫 커밋] 부분대로 커밋해주면 branch가 생성된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에 git 설치 및 최초 설정 (github에 ssh추가)  (0) 2021.10.2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